한자음
- 塞(새): 변방
- 翁(옹): 늙은이
- 之(지): ~의
- 馬(마): 말
의미
인생의 길흉화복은 예측하기 어려우니, 현재의 상황에 지나치게 연연하지 말라는 뜻.
유래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이야기입니다. 변방에 사는 한 노인의 말이 도망가자, 이웃들이 그를 위로했습니다. 하지만 노인은 “이것이 복이 될지 화가 될지 누가 알겠는가?”라고 말했죠. 며칠 후 말이 다른 야생마를 데리고 돌아오자 이웃들이 축하했으나, 노인은 이번에도 “이것이 화가 될지 누가 알겠는가?”라고 했습니다. 결국, 그의 아들이 새로 얻은 말을 타다 다리를 다쳤고, 이웃들은 그를 위로했지만 노인은 여전히 같은 말을 했습니다. 얼마 후 전쟁이 일어나 많은 젊은이들이 전쟁터에서 목숨을 잃었지만, 아들은 다친 덕에 징집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예문
- 승진에 실패했지만 다른 기회가 열렸으니, 정말 새옹지마입니다.
- 삶의 모든 일이 반드시 좋거나 나쁜 방향으로만 흘러가지 않는 법, 이것이 바로 새옹지마의 교훈이죠.
이야기 속 교훈
현재의 상황에 너무 기뻐하거나 슬퍼하지 말고, 긴 호흡으로 인생을 바라봐야 합니다. 좋은 일이 나쁜 일로, 나쁜 일이 좋은 일로 바뀔 수 있으니, 겸손한 태도로 현재를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오늘의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朝變夕改 (조변석개) (1) | 2024.12.04 |
---|---|
矛盾之爭 (모순지쟁) (0) | 2024.12.03 |
畫蛇添足 (화사첨족) (1) | 2024.12.02 |
他山之石 (타산지석) (2) | 2024.11.30 |
고진감래 (苦盡甘來) (0) | 2024.11.29 |